🍀중급회계
매출원가
세시생 포티
2025. 7. 1. 12:36
매출원가는 회계에서 기업이 상품이나 제품을 판매하면서 그 판매된 물건을 만들거나 사오는 데 실제로 들어간 비용을 의미합니다. 쉽게 말해, **"팔린 것에 들어간 원가"**입니다.
매출원가, 왜 중요할까?
- 이익 계산의 출발점: 매출원가는 손익계산서에서 매출액(총 판매금액)에서 가장 먼저 빼는 항목입니다.
예를 들어, 100만 원어치 팔고, 그걸 사오거나 만드는데 60만 원이 들었다면, 매출원가는 60만 원이고, 매출총이익은 40만 원이 됩니다1.
매출원가와 제조원가의 차이
구분 | 의미 | 계산 시점 |
매출원가 | 실제로 판매된 상품·제품의 원가 | '판매' 기준 |
제조원가 | 생산된 제품의 총 원가 | '생산' 기준 |
- 즉, 매출원가는 "팔린 것만" 계산에 들어가고, 아직 팔지 않은 재고는 포함되지 않습니다2.
매출원가 계산 공식
가장 기본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[매출원가] =[기초재고] + [당기매입 또는 제조원가] −기말재고
- 기초재고: 회계기간 시작 시점에 남아있던 재고의 원가
- 당기매입 또는 제조원가: 올해 새로 산(또는 만든) 물건의 원가
- 기말재고: 회계기간 끝에 남아있는 재고의 원가
예시
- 기초재고: 1,000만 원
- 당기 제조원가(또는 매입): 5,000만 원
- 기말재고: 1,200만 원
- → 매출원가 = 1,000 + 5,000 - 1,200 = 4,800만 원2
초보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
- 매출원가는 "팔린 것"에만 해당합니다. 아직 팔리지 않은 재고는 매출원가가 아니라 "자산"으로 남아 있습니다32.
- 매출원가가 높으면 이익이 줄고, 낮으면 이익이 늘어납니다.
- 회계에서 매출원가를 정확히 계산해야 회사의 진짜 이익(매출총이익, 순이익 등)을 알 수 있습니다1.
정리:
매출원가는 "실제로 팔린 상품·제품에 들어간 원가"이며,
기초재고 + 새로 산/만든 원가 - 기말재고로 계산합니다.
팔리지 않은 재고는 매출원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241.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aUHk382bEs
- https://blog.iquest.co.kr/entry/%EC%9B%90%EA%B0%80%EA%B3%84%EC%82%B0
- 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jjanjie3&logNo=222441188820&parentCategoryNo=&categoryNo=13&viewDate=&isShowPopularPosts=false&from=postView
- https://wombat30.tistory.com/129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vjq5zGsacI
- https://blog.naver.com/kimjh2430/220994715611
- https://universityofstocks.tistory.com/1
- https://blog.naver.com/mylesjenings/221573304266
- https://namucpa.com/wbsGBL_strg/NAMU/board/Notice/2020/12/%EC%A4%91%EA%B8%89%ED%9A%8C%EA%B3%84%209%ED%8C%90%20%ED%95%B4%EC%84%A4%EC%84%9C.pdf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qQpq8vAyJA